세계 최대 금융복합그룹 HSBC의 글로벌 성장전략
세계 최대 금융복합기업인 HSBC의 기원은 그 명칭(The Hongkong Shanghai Banking Corporation Limited)에서 알 수 있듯이 1865년에 설립된 무역금융회사에서 찾을 수 있다. 이후 홍콩에서 홍콩달러의 발권은행업무를 하는 등, 아시아 각지의 영국 식민지에서 업무를 확대, 현재에 이르고 있다. HSBC그룹은 스스로를‘The World’s Local Bank’, 즉 세계의 지역은행으로 칭하고 있으며 현재 유럽과 아시아태평양, 남북아메리카, 중동, 아프리카 등 지역 82개국에서 사업을 전개하며 세계 최대급의 리테일 금융망을 확충하고 있다. 1991년 지주회사 HSBC Holdings를 설립하였고, 2006년말 현재, 31만 2,000명의 종업원이 세계 1만여 거점에서 1억 2,500만 명의 고객을 대상으로 다양한 금융서비스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HSBC의 글로벌전략의 기원은 제2차세계대전중의 일본군의 중국 침략 및 중국 내전 등으로 인한 중국내 지점 폐쇄에 의해 발생한 조직 존망의 위기감에서부터 출발하였다. HSBC의 지리적 확장은아시아, 유럽, 미국으로 진행되고 있다. 1960년대와 70년대에는 몇 개 금융 서비스기업을 아시아지역에서 매수하였지만, Hang Seng Bank만이 소득이라 할 수 있다.
HSBC의 글로벌 전략은 인수합병을 통해 소매금융을 강화한 미국의 사업전개에서 잘 드러난다. HSBC는 1980~90년대에 걸쳐 미국에서 Marine Midland Bank(1980년), East River Savings Bank(1996), Republic New York Corporation(1999) 등을 잇따라 매수하였으며, 전통적인 상업은행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종합적인 소매금융업무에 본격적으로 착수한 계기가 된 것은 소비자금융회사인 Household(2003)의 매수로 볼 수 있다. Household 매수에 의해 북아메리카 지역의 자산은 2배가 되고, 아시아 지역이나 유럽지역에 접근하는 발판을 마련하게 된다. 멕시코나 브라질에서의 매수도 신흥시장의 잠재 성장력 등 미래수익을 예상하고 진출한 것이었다.
지역에 따라 다른 고객의 니즈에 대응하기 위해 HSBC의 사업분야는 다양화하고 있으며, 크게 Personal Financial Service, Commercial Banking, Corporate/IB & Markets, PB 등 4개의 고객 그룹으로 나누고 고객별 독립된 조직에 의해 담 당토록 하여 전문화된 금융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Personal Financial Service는 당좌저축예금, 모기지, 보험, 신용카드, 대출, 연금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세전이익의 4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Commercial Banking에서는 세계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금융상품 및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Corporate/IB & Market은 국제적인 대기업과의 장기적인 관계 마케팅에 역점을 두고 있으며, 구조화금융, 헷징 솔루션, 사채발행, 자금관리업무 등 다양한 상품 및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특이한 점은 세전이익 금액은 증가하고 있지만, 비중은 계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PB진출은 HSBC에서 가장 늦게 출발하였지만, 스위스나 프랑스의 PB은행을 인수함으로써 비중은 조금씩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HSBC는 1998년부터 2003년까지‘가치경영’을, 2004년 이후로‘성장경영’을 추진하고 있다. ‘가치경영’은 때마침 미국시장에의 본격적인 진출의 시기와 맞물려 있다. 1992년에 매수한 Midland Bank의 브랜드를 폐지하고 HSBC와 육각형 모형의 글로벌 브랜드를 핵심 시장인 미국시장에 확립하는 것이 요구되었던 시기로, 2003년 Household를 완전 매수하는 것에 의해 그 목적을 달성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HSBC는 보다 높은 수준으로 발전하는 것을 내외에 알린 메시지가‘성장경영’이라 할 수있다.
성장경영의 핵심은 고객, 상품 등을 기반으로 한 성장전략을 수립하고, 수익창출 문화를 확산, 브랜드 개발 강화 등을 실행수단으로 하며, 기업인수 기준에 입각한 인수전략을 지속적으로 추진하는 것이다. HSBC가 신 5개년 계획으로 성장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 것은 HSBC가 글로컬(Glocal) 전략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이다. 글로벌과 로컬의 성격을 모두가진, 양쪽을 활성화하면서 서로를 연결시키는 것이 HSBC의 발전과정을 보면, HSBC에 리스크가 크면서 동시에 수익도 큰 대담한 도전의 과정이라 할 수 있으며, 대표적인 것이 영국 및 미국시장으로의 진출을 들 수 있다. 특히 영국진출은 한번 중단한 경험이 있을 정도로 어려운 선택이었다. 미국 진출도 시티그룹과 같은 거대 금융서비스 기업의 본거지에 대한 전격적인 진출로 리스크가 큰 결단이었음에 틀림없다.
HSBC의 글로벌 확대 전략은 조직의 위기로부터 이를 극복하기 위해 시작된 만큼, 끊임 없는 도전정신의 산물이라 할 수 있다. 최근 급속한 규모의 확대에 따른 경영조직의 비대화, 경직화의 초래 가능성 제기로 잠재적인 위험성의 증대를 우려하는 시각도 있지만, 위기의식으로 도전하는 정신을 강조하는 HSBC의 사상이 지속되는 한, 또 다른 발전의 모습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HSBC의 전략이다. HSBC는 창업초기부터 지역 환경에의 적응을 추구하였는데, 다른 지역으로의 확장에 의해 규모가 커짐에 따라 지역 환경에의 적응을 의식하지 않을 수 없었다.
기업인수 기준 : 전반적인 영업전략과 조화, 인수 첫해 EPS 증가, 3~4년 내에 그룹 자본비용률 초과 목표, 우수한 고객기반 또는 상품 역량, 인적 조화가 필수 요소, 순차적인 IT통합, 기존 그룹에서 인수사업에의 가치부여가 가능하여야 함